제1저자 Jeonghyun Park(중앙대) 연구자의 연구 방향 예측
Jeonghyun Park 연구자의 연구는 사용자의 목적과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정확하고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찾아내도록 하는 AI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질문을 똑똑하게 수정하고 (GuideCQR), 언어 편향성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성능 하락을 막고 (DKM-RAG), 복잡하고 모호한 질문을 논리적으로 풀어내는 (MIRAGE/CLARION) 방법들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추후에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1) 언어를 활용한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나는 복잡성과 모호성을 해결하여 더욱 똑똑한 AI 서비스를 개발
DKM-RAG에서 다룬 언어 편향성 문제와 CLARION에서 다룬 복잡성 및 모호성 해결 문제를 하나의 AI 시스템에 통합하게 되면, 사용자가 ’저자원 언어’로 입력한 애매하고 모호한 질문에 대해 여러 해석을 찾고 고자원 언어로 번역하여 검색한 후에 다시 저자원 언어로 답변을 생성하여 주는 고성능 다국어 추론 에이전트를 구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느린 속도와 비효율성을 개선
GuideCQR나 DKM-RAG은 답변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키워드 추출, 예상 답변 생성, 번역, 다단계 추론 등과 같은 여러 단계를 밟게 되어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됩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도 작동 속도를 올리거나 계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AI 서비스의 적용 범위 확장
현재까지의 연구가 위키피디아와 같은 소스를 써서 일반적인 지식을 활용했다면, 앞으로는 법률, 의학 등과 같은 전문 분야에 대한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훨씬 자원이 부족한 언어 환경으로 연구를 확장하면, AI 서비스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 (K-AI) (Inforience의 레이더에 포착된 제1저자) Jeonghyun Park(중앙대)의 연구를 분석해 보자.
[…] https://inforience.net/2021/01/28/bias-a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