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읽어볼 글 목록
- ‘ChazaYOU’는 진짜 연구자를 찾습니다.
- “Human-AI Interaction: Intermittent, Continuous, or Proactive” 해설
- “촉촉한 인공지능은 없습니다.”
- (CHI 2024 Best Paper 리뷰) LLM을 탑재한 대화형 검색 서비스를 쓰면 내 생각이 편향된다고?
- (CHI 2024 논문 리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에 생성형 AI를 쓰겠다고?
- (CLIP) 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Visual Model Pre-training
- (K-AI) (Inforience의 레이더에 포착된 제1저자) Jeonghyun Park(중앙대)의 연구를 분석해 보자.
- (K-EECS) 전자, 컴퓨터 분야 K-연구의 전체적인 동향 (data ver. 20250709)
- (K-EECS) 진지하게 재미로 비교해 본 서울대, KAIST, POSTECH의 연구 성향
- (K-EECS) 한국은 Autonomous and Advanced Vehicle Systems: Navigation and Safety 분야에서 어떤 연구를 하고 있을까?
- (논문 간단 요약) Evidence of a social evaluation penalty for using AI
- [Episode] ShadowEgo에게 나의 과거를 묻다.
- [Episode] The Shadow Professor
- [Episode] The Shadow Reporter
- [Episode] 그림자 함정
-
최신 댓글
[…] https://inforience.net/2017/04/01/inftn-14-001-a-framework-for-finding-high-interest-content-pages-f… […]
[…] https://inforience.net/2017/05/16/cscw2013/ […]
[…] https://inforience.net/2017/04/21/social_type_by_tweet_diversity/ […]
[…] https://inforience.net/2019/04/28/ecg_classification/ […]
글쓴이 보관물: inforience
(K-AI) (Inforience의 레이더에 포착된 제1저자) Jeonghyun Park(중앙대)의 연구를 분석해 보자.
제1저자 Jeonghyun Park(중앙대) 연구자의 연구 방향 예측 Jeonghyun Park 연구자의 연구는 사용자의 목적과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정확하고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찾아내도록 하는 AI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질문을 똑똑하게 수정하고 (GuideCQR), 언어 편향성에 의해 생길 수 … 계속 읽기
각 국가가 독자적이고 자주적인 인공지능 기술과 모델을 보유해야 하는 이유
– AI 모델과 시스템에 대해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의 기준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한 국가의 독특한 법적 요구사항과 규제 환경 및 거버넌스 구조를 반영하려면 독자적인 AI 기술과 모델을 보유해야 합니다. 더보기 >> 각 국가가 독자적이고 자주적인 인공지능 기술과 모델을 보유해야 하는 이유
(K-EECS) 진지하게 재미로 비교해 본 서울대, KAIST, POSTECH의 연구 성향
– 서울대학교의 상위 10개 세부 주제의 구성을 보면, 전자, 컴퓨터 분야에서 비교적 넓은 스펙트럼의 주제들에 비중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KAIST의 상위 10개 세부 주제의 구성을 보면, 전반적으로 인공지능 관련 분야에 대해 크게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POSTECH의 상위 … 계속 읽기
(K-EECS) 한국은 Autonomous and Advanced Vehicle Systems: Navigation and Safety 분야에서 어떤 연구를 하고 있을까?
– ‘Autonomous and Advanced Vehicle Systems: Navigation and Safety’ 주제에서의 한국 연구자들의 연구는 현대적인 차량에 적용되는 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세부 주제들을 포함합니다. 특히, 자율 주행 기술 및 안전 시스템과 관련된 응용 분야에 초점을 맞춥니다. 또한 센서, 인공지능, 통신, 규제 등 다양한 … 계속 읽기
(K-EECS) 전자, 컴퓨터 분야 K-연구의 전체적인 동향 (data ver. 20250709)
– 전자, 컴퓨터 분야의 국내 연구현황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해보기 위해, 현재 19개 국내 대학의 전산, 전자 관련학과에 소속된 현직 전임교수들의 연구내용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대학들을 대상으로, 각 대학의 전자, 컴퓨터 관련 학과에 소속된 전임 교수들의 구글 스칼라에 공개된 … 계속 읽기
(논문 간단 요약) Evidence of a social evaluation penalty for using AI
– 재미있는 논문을 소개합니다. Evidence of a social evaluation penalty for using AI (https://www.pnas.org/doi/10.1073/pnas.2426766122) !!!!!!) 제가 볼 때 이 논문에서 언급한 결과는 AI 사용이 점점 더 보편적이 된 이후에는 크게 달라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더보기 >> (논문 간단 요약) Evidence … 계속 읽기
카테고리: Human, Data & A.I.
댓글 남기기
AIFrenz 참여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1)
– 더보기 >> AIFrenz 참여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1)
국내 HCI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3)
– 더보기 >> 국내 HCI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3)
국내 HCI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2)
– 더보기 >> 국내 HCI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2)
국내 HCI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1)
– 더보기 >> 국내 HCI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합니다. (1)
[…] https://inforience.net/2021/01/28/bias-a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