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읽어볼 글 목록
- ‘ChazaYOU’는 진짜 연구자를 찾습니다.
- “Human-AI Interaction: Intermittent, Continuous, or Proactive” 해설
- “촉촉한 인공지능은 없습니다.”
- (CHI 2024 Best Paper 리뷰) LLM을 탑재한 대화형 검색 서비스를 쓰면 내 생각이 편향된다고?
- (CHI 2024 논문 리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에 생성형 AI를 쓰겠다고?
- (CLIP) 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Visual Model Pre-training
- (K-AI) (Inforience의 레이더에 포착된 제1저자) Jeonghyun Park(중앙대)의 연구를 분석해 보자.
- (K-EECS) 전자, 컴퓨터 분야 K-연구의 전체적인 동향 (data ver. 20250709)
- (K-EECS) 진지하게 재미로 비교해 본 서울대, KAIST, POSTECH의 연구 성향
- (K-EECS) 한국은 Autonomous and Advanced Vehicle Systems: Navigation and Safety 분야에서 어떤 연구를 하고 있을까?
- (논문 간단 요약) Evidence of a social evaluation penalty for using AI
- [Episode] ShadowEgo에게 나의 과거를 묻다.
- [Episode] The Shadow Professor
- [Episode] The Shadow Reporter
- [Episode] 그림자 함정
 
- 
최신 댓글
- […] https://inforience.net/2017/04/01/inftn-14-001-a-framework-for-finding-high-interest-content-pages-f… […] 
- […] https://inforience.net/2017/05/16/cscw2013/ […] 
- […] https://inforience.net/2017/04/21/social_type_by_tweet_diversity/ […] 
- […] https://inforience.net/2019/04/28/ecg_classification/ […] 
 
카테고리 보관물: Human, Data & A.I.
가짜뉴스가 궁금하다.
가짜뉴스는 뉴스 생태계의 신뢰 밸런스를 깬다. (물론 이미 한국의 언론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낮지만.) 더 나아가 가짜뉴스는 편향된, 잘못된 믿음을 받아들이게 하여 사람들이 뉴스를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방식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 가짜뉴스들 중에는 일부러 사람들의 불신과 혼란을 야기시켜서 진실과 거짓을 구분하기 … 계속 읽기
									
						카테고리: Human, Data & A.I.					
					
				
				
				댓글 남기기
							
		[Episode] The Shadow Professor
“최근에는 인터넷 상에 새로 업로드되는 문서들의 73%가 인공지능에 의해 작성된 것이라는 분석이 있습니다. 이 수치는 2년 전에 비해 크게 높아진 건데요. 지금까지는 광고 영역에서만 그런 성향이 보여서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되지 않았는데, 최근에는 신문기사나 전문 블로그들도 인공지능에 의해 작성된 것들이 많아지고 … 계속 읽기
									
						카테고리: Human, Data & A.I.					
					
				
				
				댓글 남기기
							
		CLIP은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
텍스트 정보가 주어졌을 때, 해당 텍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해 내는 것에 대해 알아보자. 문장을 읽고 자신의 경험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처럼. 물론 모든 이미지에 대해 각 이미지를 적절히 설명하는 텍스트를 미리 작성해 놓은 후에 텍스트 기반의 검색엔진을 만들면 될 듯 하지만, … 계속 읽기
[Episode] 그림자 함정
…. “’장군’을 아나?” 강혁은 1.69호의 표정이 역사 데이터에서 본 고려시대 사람의 초상화와 닮았다고 생각했다. “장군?” 1.69호의 오른쪽 입꼬리가 잠시 흔들렸다. “그 자식은 자기가 보는 모든 걸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것을 좋아하는 변태야. 사람이 아니라 인공지능 찌꺼기라는 소문도 있지. 나는 그가 인공지능이라는 … 계속 읽기
									
						카테고리: Human, Data & A.I.					
					
				
				
				댓글 남기기
							
		[Episode] ShadowEgo에게 나의 과거를 묻다.
YouTube 영상 “12년 전 오늘, 오전 10시의 나와 대화하고 싶어. +++++++ 12년 전 오늘, 오전 10시의 내가 입장하셨습니다. 나를 불렀니? 응, 내가 불렀어. 이것저것 이야기하고 싶어서.”. …. 더보기 >> “ShadowEgo에게 나의 과거를 묻다.“
									
						카테고리: Human, Data & A.I.					
					
				
				
				댓글 남기기
							
		우리들이 품은 bias, 그리고 새로운 bias의 출현
클릭 >> Hello, world !! (from ShadowEgo) 편향, 즉 bias는 무엇이고, 왜 중요할까? Bias는 “tendency of favoring one thing or opinion over another” [1] 라고 정의된다. 간단히 말하면, 특정 무엇인가를 (다른 것들에 비해) 선호하게 되는 경향 또는 현상이라고 할 수 … 계속 읽기
									
						카테고리: Human, Data & A.I.					
					
				
				
				댓글 한 개
							
		기초적이지만 꽤 재미있는 word embedding 놀이
클릭 >> Hello, world !! (from ShadowEgo) 들어가며… 최근의 기계학습 분야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들 중의 하나가 ‘embedding’이다. Wikipedia에 명시된 embedding의 정의 [0] 는 다음과 같다. “In mathematics, an embedding is one instance of some mathematical structure contained … 계속 읽기
사회적 관계의 타입을 커뮤니케이션 데이터를 활용해서 측정할 수 있을까?
클릭 >> Hello, world !! (from ShadowEgo) 본 포스팅은 아래의 국제 컨퍼런스 논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Jinhyuk Choi, Seongkook Heo, Jaehyun Han, Geehyuk Lee, Junehwa Song, “Mining Social Relationship Types in an Organization using Communication Patterns”, The 16th ACM Conference on … 계속 읽기
데이터 분석하던 노인
클릭 >> Hello, world !! (from ShadowEgo) 벌써 5년 전이다. 내가 창업한 지 얼마 안되어서 서울과 대전을 수없이 해매고 다닐 때다. 서울 왔다 가는 길에, 대전으로 가기 위해 서울역에서 KTX를 타야 했다. 서울역 근처 커피숍에 앉아서 MacBook으로 Numbers와 Jupyter notebook … 계속 읽기
									
						카테고리: Human, Data & A.I.					
					
				
				
				댓글 2개
							
		대화 내용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사회적 관계 측정
클릭 >> Hello, world !! (from ShadowEgo) 본 포스팅은 아래의 국제 컨퍼런스 논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Jiyeon Jang, Jinhyuk Choi, Gwan Jang and Sung-Hyon Myaeng, “Semantic Social Networks Constructed with Topical Aspects of Conversations: An Explorative Study”, The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 계속 읽기
 
			
[…] https://inforience.net/2021/01/28/bias-a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