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읽어볼 글 목록
- ‘ChazaYOU’는 진짜 연구자를 찾습니다.
- “Human-AI Interaction: Intermittent, Continuous, or Proactive” 해설
- “촉촉한 인공지능은 없습니다.”
- (CHI 2024 Best Paper 리뷰) LLM을 탑재한 대화형 검색 서비스를 쓰면 내 생각이 편향된다고?
- (CHI 2024 논문 리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에 생성형 AI를 쓰겠다고?
- (CLIP) 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Visual Model Pre-training
- (K-AI) (Inforience의 레이더에 포착된 제1저자) Jeonghyun Park(중앙대)의 연구를 분석해 보자.
- (K-EECS) 전자, 컴퓨터 분야 K-연구의 전체적인 동향 (data ver. 20250709)
- (K-EECS) 진지하게 재미로 비교해 본 서울대, KAIST, POSTECH의 연구 성향
- (K-EECS) 한국은 Autonomous and Advanced Vehicle Systems: Navigation and Safety 분야에서 어떤 연구를 하고 있을까?
- (논문 간단 요약) Evidence of a social evaluation penalty for using AI
- [Episode] ShadowEgo에게 나의 과거를 묻다.
- [Episode] The Shadow Professor
- [Episode] The Shadow Reporter
- [Episode] 그림자 함정
-
최신 댓글
[…] https://inforience.net/2017/04/01/inftn-14-001-a-framework-for-finding-high-interest-content-pages-f… […]
[…] https://inforience.net/2017/05/16/cscw2013/ […]
[…] https://inforience.net/2017/04/21/social_type_by_tweet_diversity/ […]
[…] https://inforience.net/2019/04/28/ecg_classification/ […]
카테고리 보관물: Trends of Data, Machine Learning, A.I.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Autism 관련 주제에 대해 어떤 연구를 했을까?
“국내 연구자들의 대표적인 연구들을 4가지 그룹 – (1) 정신건강 상태 인식 및 지원 기술, (2) 자폐 스펙트럼 지원을 위한 인터랙티브 기술, (3) 자폐 성인 대상 신체 활동 증진 연구, (4) 자폐인을 위한 감정 인식 및 사회적 소통 지원 – 으로 … 계속 읽기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정신적 질환이나 문제를 겪는 사람들을 위해 인공지능이나 언어모델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 이 주제와 관련한 국내 연구자들의 대표적인 연구들을 3가지 축 – (1) 텍스트 기반 감지·지원, (2) AI 개입 기법 설계, (3) 센서·상호작용 모니터링 – 으로 나누어 보면, 각 연구자들이 어떤 방법론과 데이터 소스를 활용해 정신 건강 문제에 접근하고 있는지 파악할 … 계속 읽기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Smart Home 관련 주제에 대해 어떤 연구를 했을까?
– “최근 5년 동안 국내 HCI 연구자들이 수행한 Smart Home 관련 연구들은 “인간 중심의 생활 지원 시스템”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센서 네트워크 최적화, 음성 인터페이스, 웨어러블 기반 행동 인식, 그리고 가족 중심의 정서 공유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자의 삶의 … 계속 읽기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Human-AI Interaction 주제에 대해 어떤 연구를 했을까?
– “AI를 탑재한 서비스들이 줄을 이어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분야의 연구자들은 인간과 AI간의 상호작용(Human-AI Interaction)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Human-AI Interaction 주제에 대해 어떤 연구를 했을까?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Large Language Model에 대해 어떤 연구를 했을까?
– “국내의 HCI 연구자들이 Large Language Model에 대해 언급한 내용들을 주제 별로 분류해 보면 9가지로 나눌 수 있었습니다. 각 주제들을 살펴보면, 교육, 맞춤형 에이전트, 콘텐츠 생성, UI/UX 설계 보조, 의료 응용, 정보탐색 및 추천 시스템, 접근성 강화 등과 같은 주제들이 보입니다. 그리고 … 계속 읽기
자, 이제부터 HCI 연구에도 주목해 봅시다.
더보기 >> 한국의 HCI 연구자들은 어떤 연구를 하고 있을까?
국내의 IT 분야에서는 어떤 연구를 하고 있을까? (1)
– “가끔, 특정 분야에 대한 국내의 연구 수준이나 동향을 파악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특정 세부 주제에 대해 국내에서 누가 연구를 하고 있는지 궁금할 때도 있고요. 특히 최근에 국가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인공지능 분야라면 더욱 그러하겠지요.” 더보기 >> 국내의 IT 분야에서는 … 계속 읽기
[Mostly AI-Generated] “Attention is all you need” 논문의 1저자인 Ashish Vaswani는 그 이후에 어떤 연구를 했을까?
“Attention is All You Need” 논문은 2017년 Google Brain 팀에서 발표한 획기적인 연구로, 자연어 처리 분야에 혁명을 일으킨 Transformer 모델을 소개한 논문입니다. 이 논문은 BERT, GPT 등 현대 자연어 처리 모델의 기반이 되는 아키텍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 계속 읽기
[Mostly AI-Generated]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나 LLM(Large Language Model)은 어떻게 활용될까?
각 시기에 독특하게 나타난 키워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더보기 >>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나 LLM(Large Language Model)은 어떻게 활용될까?
[Half-AI-Generated]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John Joseph Hopfield : 생물학적 신경망 시스템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계산적으로 모델링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한 연구자.
Image source : https://www.nobelprize.org/prizes/physics/2024/hopfield/facts/ “John Joseph Hopfield(이하 Hopfield)의 연구는 198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생물학적 시스템과 신경망의 계산 모델(Computational Model)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생물학적 뉴런의 비동기 병렬 처리와 컴퓨터 시스템의 content-addressable memory를 설명했습니다. 1980년대 중반에는 비선형 아날로그 뉴런을 활용하여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였고 이를 … 계속 읽기
[…] https://inforience.net/2021/01/28/bias-ai/ […]